(이 글은 생활코딩 파이썬 입문수업에서 들은 내용을 기록한 것입니다.)
문자열 데이터 타입
이전 글에서는 숫자형 데이터 타입에 대해 배운 내용을 적었다면, 이번에는 '문자열 데이터 타입'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숫자형 데이터 타입과는 달리 문자열 데이터 타입을 입력할 때는 작은 따옴표('')나 큰 따옴표("")를 이용해야 합니다.
이외에도 '''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문자열 데이터 타입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문자 말고 숫자도 작은 따옴표('')를 이용해서 문자열 데이터 타입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Hello World'를 1000번을 반복해서 출력할 수 있고, 다른 문자로 대치할 수도 있습니다.
리스트 데이터 타입
문자열 데이터 타입 이후에는 '리스트 데이터 타입'을 배웠습니다.
리스트는 박스나 서랍 안에 물건을 여러 개 두는 것과 같습니다.
여기서 박스이자 리스트의 이름은 'students'와 'grades'이고, 각각의 리스트 안에는 학생의 이름과 숫자가 들어있습니다.
이 리스트를 이용해서 원하는 값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students[1]'는 이 리스트에서 첫 번째 항목을 의미하고, 'len(students)'는 리스트 안에 있는 항목의 개수를 의미합니다.
이외에도 max 함수와 mix 함수를 이용해서 리스트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른 함수를 이용해서 학년의 평균과 무작위로 학생을 출력할 수 있습니다.
변수
다음으로는 '변수'를 배웠습니다.
변수는 코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설정한 것입니다.
단순히 print(1000*0.1)이라고 하면 이 코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렵지만, price라는 변수를 설정하면 쉽게 파악이 가능합니다.
이외에 편지를 쓸 때도 변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수 name을 이용해서 편지 내용 안에 있는 이름을 바꿀 수가 있고, 내용 자체를 message라는 변수를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 .
'Skills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x축, y축 눈금 설정 with Jupyter Notebook (1) | 2022.03.01 |
---|---|
코린이의 Python 성장기 #4 (1) | 2022.01.23 |
코린이의 Python 성장기 #2 (1) | 2022.01.17 |
코린이의 Python 성장기 #1 (0) | 2022.01.17 |
코린이의 Python 성장기 #0 (0) | 2022.01.16 |